다리오포作 여성문제극 ‘모든 집,침대…’/孫靜淑 기자(객석에서)
[대한매일] 1998-07-29 (문화) 칼럼.논단 13면 965자
◎관객 사로잡는 ‘넘치는 익살’
극단 민예가 공연중인 ‘모든 집,침대 그리고 교회’에서 가장 유명한 이는 극작가 다리오 포 이다. 지난해 노벨문학상을 타며 본격 소개됐지만 대학로 무대에선 일찌기 사랑받아온 이탈리아 작가다. 국가권력 횡포에 맞서며 억압받는 대중을 대변해온 ‘연극운동가’인 포의 매력은 ‘투쟁성’만은 아니다. 중세 어릿광대를 이은 넘치는 익살로 전혀 이론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한번에 사로잡아버리는 힘이 있다.
‘…교회’에서 포는 여성문제에 덤벼들었다. 작품은 별개 소품 3개로 이뤄져 각각 여성 한명이 일인극을 하는 옴니버스 형식으로 이번 무대에는 두개만 올랐다. ‘우리는 모두 똑같은 얘기를 가졌어요’에서 주인공은 아기 낳는 고통을 알게된 한 남자 얘기를 들려준다.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면 임신에 대한 아내의 두려움은 아랑곳없이 관계를 강제해도 되는 줄 아는 ‘전기기술자’. 어느날 아내의 헝겊인형이 그의 엉덩이 사이에 박혀 빠져나오지 않는 바람에 팔자에 없는 난산을 겪다 결국 펑터져버렸다는 것이다.
‘외로운 여인’은 더 직설적이다. 여자를 도구로만 여겨 집에 가둬버린 남편,그런 여인을 망원경으로 엿보는 앞집 남자,온통 화상을 입고도 가정부 건드리기를 멈추지 않는 시동생,육체적 사랑밖에 모르는 애인에게 포위돼 여인은 미치기 일보 직전이다.
포의 기지는 여기서 나타난다. 여인은 영화 ‘델마와 루이스’ 주인공들처럼 어떤 사탕발림에도 끝내 타협하지 않는다. 아니 델마나 루이스는 자신을 부숴버리지만 여인은 자기를 괴롭히는 바깥에 총부리를 겨눈다는 점에서 더 선동적이다. 생경한 구호에 그치기 쉬운 ‘비타협’에 익살의 살을 붙이는 포의 입심은 짜릿하기까지 하다.
젊은 여배우들의 연기는 사실 어설픈 감이 없지 않다. 무대도 누추하고 깜박깜박 호흡을 놓치는 조명이 한번씩 극의 흐름을 끊어놓는다. 하지만 어떤 불리한 여건도 작가의 반짝이는 생기를 죽이지 못했다. 9월30일까지 마로니에 극장. 744-0686.